나만의 react boilerplate 만들기 - (4) 개선
·
프론트엔드/개발 환경
TS 버전업 TS 버전을 기존 4.4.2 -> 5.2.2로 올렸다. 버전업시에 기존 yarn berry 3.3.0과 호환이 되지 않아 yarn berry도 3.6.3으로 올렸다. 다른 의존성도 해당 버전에 맞게 업데이트했다. TS 5.0 이상은 데코레이터, 파라미터 const 타입, Enum을 Union 타입과 호환 등 여러가지 변화가 있다. 이 참에 해당 기능들을 좀 활용해보면 좋을 것 같다. dev:msw 명령어 추가 개발시에 msw 구동이 필요할 때와 아닐 때(api 찌를 백엔드가 있는 경우)가 있다. 그런 경우에 활용하기 위해 기존 dev 명령어를 dev(msw X), dev:msw (msw O)로 나누었다. .env로 msw 구동 여부``를 환경여부를 주입해서 코드상에서 활용하도록 했다. ///..
3. 테스트 자동화
·
프로젝트 회고/엑셀 편집기 개발
Github Actions와 RTL, Jest로 만든 테스트코드를 이용해서 테스트 자동화를 해봤다. 테스트 코드 각 컴포넌트, 기능(features 디렉토리) 별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했다. RTL의 user-event를 활용해서 사용자 행동기반 테스트코드를 만들었다. /// Functionbar.test.tsx describe('', () => { test('선택셀 좌표 input 렌더링한다.', () => { render() const coordInput = screen.getByTestId('coordInput') expect(coordInput).toBeInTheDocument() }) test('선택셀 좌표 input default값인 "A1"이 담겨있다', () => { render() cons..